법정스님 다비식 지켜본 `맑고 향기롭게` 이사 변택주 | |||||||||
"무소유는 갖지 말라는 게 아니라 나누라는 의미죠"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종교는 친절이라고 늘 말씀 임종 직전까지 `맑고 향기롭게` 이사장직 유지 | |||||||||
지난 13일 전남 순천 송광사에서 법정 스님 다비식을 마치고 서울 길상사로 돌아온 변택주 `맑고 향기롭게` 이사(58ㆍ사진)는 아직도 법정 스님을 떠나보내지 못한 모습이었다. 스님에게 받은 법명 `지광(智光) 거사`로 자신을 소개한 변 이사는 "많이 알려진 `무소유` 정신은 소유를 하지 말라는 말이 아니다"며 "우리에게 주어진 것 중 내 것이 없기 때문에 아낌없이 나누라는 의미"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스님은 평소에 `베품`보다는 `나눔`이라는 말을 더 좋아하셨다"며 "아마 나눔이라는 말이 보여주는 수평적인 모습이 마음에 드셨던 것 같다"고 회고했다. 스님이 자연보호보다 자연보전이라는 말을 좋아했던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법정 스님을 처음 만난 것은 길상사 창건 이듬해인 98년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법정 스님이 주재하는 법회를 아내와 함께 찾았다. "책으로만 흠모했던 법정 스님을 그때 처음 만났어요. 그로부터 반년이 지나고는 법정 스님이 주재하는 일요법회 진행을 맡았죠." 그는 2000년 법정 스님에게 사미계를 받았다. "사실은 26년 전에 이미 계를 받은 적이 있었지만, 꼭 스님께 받고 싶은 마음이 들어 특별히 다시 부탁했어요. 어떻게 보면 욕심이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는 법정 스님이 평소에 편지를 받으면 짧게라도 꼭 답장을 했다고 말했다. 법정 스님에게 편지를 받은 사람이 꽤 많다는 말이다. 성북동 길상사 안에 위치한 `맑고 향기롭게` 사무실 한쪽 벽에는 장학금을 받은 학생들, 인근 지역 노인ㆍ청소년 복지단체에서 보낸 편지들이 빼곡하게 붙어 있다. 모두 감사 편지다. 전국 회원 8000여 명인 맑고 향기롭게는 법정 스님의 나눔 정신을 이어받아 소리 없는 기부를 실천하고 있었다. 변 이사는 "스님은 평소 사람이 누구나 독보적이고 존귀한 존재기 때문에 존중과 배려를 해야 한다고 강조하셨다"고 덧붙였다. 맑고 향기롭게는 법정 스님이 세상에 남기고 간 유일한 사회모임이다. 스님이 자기 수양과 사랑을 실천하고자 1994년 종로구 운이동 작은 오피스텔에서 만들었다. 사찰 주지 한 번 지내지 않을 정도로 수양에만 정진한 법정 스님도 이 법인 이사장직은 입적할 때까지 유지했다. 법정 스님은 입적하기 전날 밤 "내 것이 남아 있다면 모두 맑고 향기로운 사회를 구현하는 데 사용해 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또 매년 장학금 4500만원을 학생 30여 명에게 지원하고, 매주 목요일에는 인근 장애인과 노인, 청소년 복지센터와 350가구에 반찬을 지원하고 있다. 숲기행과 생태사찰 탐방 등 자연을 보전하는 활동도 펼치고 있다. [윤형중 기자] 2010.03.14 18:42:33 입력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