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고 향기롭게 후원하기

언론

    • 22-11-21

    [뉴제주일보] 자꾸 웃다보면 2019.03.24

본문

자꾸 웃다보면
  •  뉴제주일보
  •  승인 2019.03.24 19:41
  •  댓글 0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부영주 주필/부사장

세상에 많은 신()이 있지만, ‘바보의 신도 있다. 500여 년 전 에라스므스가 쓴 우신예찬’. 이 책이 바보예찬이란 제목으로 번역본이 나와 있듯이 우신(愚神)’이란 바보의 신이다.

바보의 신은 부유의 신을 아버지로, ‘청춘의 신을 어머니로그리고 도취와 무지의 두 유모의 젖을 먹고 자랐다이 우신은 친구들을 여러 명 가지고 있다추종의 신무분별의 신미식과 수면의 신 등이 어리석은 신들을 통해 필자는 당시 학자들의 어리석음을인간 세계의 일체가 어리석음을 통렬하게 쓰고 있다.

하지만 그가 우신을 통해 세상 사람들에게 말하고자 한 것은 어리석음이 반드시 나쁘지만은 않다는 것이다우리가 사는 세상이 멸망하지 않고 작동하는 것은 심사숙고나 합리적 판단이 아닌열정과 망각과 같은 우신의 교리 덕분이라고 한다바보들 덕택에 이 세상이 이만큼이라도 굴러간다는 얘기다.

 

바보의 특징은 천진난만하게 잘 웃는다는 점이다도대체 심각한 경우가 없다그리고 집중력이 뛰어나다한 가지를 생각하면 다른 것은 동시에 생각할 여유가 없다.

맨발의 기봉이라는 영화가 있었다남해의 아름다운 바다가 보이는 한적한 시골 다랭이’ 마을에는 어려서 열병을 앓아 나이는 40살이지만지능은 8살에 머문 때 묻지 않은 노총각 기봉이가 산다기봉이가 세상에서 제일 사랑하는 것은 엄마제일 잘하는 것은 달리기다.

동네 일을 하면서 얻어오는 음식을 엄마에게 빨리 가져다주고 싶은 마음에 신발도 신지 않은 채 집으로 뛰어가 밥상을 차리는 그를 보고 동네 사람들은 맨발의 기봉이라고 부른다어려운 생활이지만그의 얼굴에는 그늘 한 점 없다그는 항상 밝고 환한 웃음을 지을 뿐이다.

맨발의 기봉이를 보면 우리의 삶을 생각해 보게 된다기봉이보다 못하지 않은 삶의 여건이지만마음은 늘 빈곤하다무엇보다 기봉이 같은 웃음을 지을 수 없다.

 

어떤 삶이 좋은 것인지정답이 어디 있으랴만동서고금의 진리는 바보같이 사는 것이라고 한다.

정말 바보처럼 살다간 법정 스님은 세상에서 가장 귀한 종교는 기독교불교천주교가 아니다바로 친절이다라고 했는데이 말은 산에 있는 절이 아니라 친절하게 살라는 말이다.

법정은 본래 천화(天花)’를 하고 싶었다천화란 고승이 임종을 앞두고 홀로 깊은 산 속으로 걸어가다가 힘이 없어 쓰러지면 주변에 나뭇잎을 주워 모아 자신을 덮어 생을 마감하는 것이다즉 깊은 산속에서 아무도 몰래 남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생을 마감하기에 그 흔적을 찾을 수 없다고 한다그래서인가법정은 아무 것도 남기지 않았다유언으로 내가 죽거든 비석도 무덤도 만들지 말라고 했다우리들 기억엔 그의 웃음만이 남아있을 뿐그는 참으로 맑고 향기로운 바보다.

 

우리 제주 사람들은 유독 웃음이 적다바보처럼 순수한 웃음은 더더욱 없다아니 웃지 못한다고 해야 더 정확할 것이다세상을 살면서 삶의 굴곡을 지나다 보면 머릿속은 언제나 복잡하다특히 제주 사람들은 지능지수가 높은 데다 좁은 섬에서 서로 부대끼며 살다 보니 남을 속이거나 어려움을 주는 소식을 자주 접하게 된다그러다 보니 웃을 수 없게 된 걸까.

바보가 똑똑한 사람처럼 살 수는 없다아이가 어른처럼 살 수 없고 약한 사람이 강한 사람처럼 행동하기 어렵다하지만 똑똑한 사람이 바보스러운 웃음을 지으며 산다면 더욱 지혜로운 사람이 되지 않을까어른이 아이처럼 활짝 웃으면 많은 사람으로부터 사랑을 받지 않을까.

요즘 세상 살맛이 없다고 하는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말어느 날 엄마가 기봉이에게 묻는다. “기봉아넌 사는 게 그렇게 좋으냐?” 기봉이는 지체 없이 대답한다. “”. 활짝 웃는 기봉이의 대답은 언제나 이렇게 간단명료하다.

내가 바보가 되면 친구가 모인다’(강민수 저영광도서)고 한다오늘부터 웃는 연습을 해볼까거울을 보며 자꾸 웃다 보면 언젠가는 바보처럼 웃게 된다고 하니까.

뉴제주일보  webmaster@jejuilbo.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