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고 향기롭게 후원하기

언론

    • 22-11-21

    매화와 노닥거리다 오르는 산책로, 전남 순천 조계산 무소유길 2019-03-29

본문

매화와 노닥거리다 오르는 산책로, 전남 순천 조계산 무소유길


(주민욱 사진작가(프리랜서) )원본보기
(주민욱 사진작가(프리랜서) )

 

송광사 주차장에 차를 두고 무소유길을 오른다. 1km 남짓한 숲길이라 오르내리기 쉽다. 불일암에선 법정 스님의 수목장 묘를 놓치지 말자. 하산 뒤엔 조계산의 양대 거찰인 송광사와 선암사를 비교 답사한다. 풍경도 풍토도 서로 완연히 다르다.

 

얼씨구! 매화꽃 핀다. 조계산 기슭 곳곳에 매화가 지천이다. 이미 피었거나 피고 있거나 피어날 채비를 하거나, 여기저기 오나가나 보나마나 천지간에 매화다. 그렇다는 건 하고많은 초목 중에 유독 매화가 꽂히듯 쏘옥 눈에 들어온다는 뜻이다. 딴엔 매화에 취미가 있으니 이게 호사다.

예로부터 매화는 애호가들을 몰고 다녔다. 아직 봄 일러 눈발 날릴 때부터 매화는 홀로 고고히 피어 춘색몰이를 선동한다. 동면에서 겨우 깨어난 산야로 성급히 짓쳐드는 매화의 기세에, 은은해서 더 멀리 가는 향에, 희고 차가운 꽃잎의 미색에 사람들은 들떠 입방아를 찧었다. 어떤 고인은 매화를 아내 삼아 청산에 은거했다. 조선의 명인 강희안은 매화에게 정1품 벼슬을 내렸다. 퇴계는 한술 더 뜨셨구나. 이렇게. “아아. 몇 생애나 닦아야 매화가 될까?”

 

(주민욱 사진작가(프리랜서) )원본보기
(주민욱 사진작가(프리랜서) )
벌 나비들, 매화를 가만 두고 보진 못하리라. 꿀을 얻기 위해 온몸을 들이밀 것이다. 그게 꽃이 바라던 바이며, 그게 기대했던 열락이며, 그래서 혼신의 힘을 다해 농밀한 체취를 풍긴다. 활활 타오르는 뭔가 황홀한 게 꽃과 나비 사이에 있을 게다. 그러나 다 지나간다.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이라, 꽃 피어 열흘 붉긴 어렵고 지기는 쉽다. 사람의 일도 이와 다를 게 있던가. 청춘남녀의 사랑도, 검은 머리 파 뿌리 되는 해로(偕老)도, 만개처럼 은성했던 삶도 종국엔 감쪽같이 시든다.

 

홀리고 끌리어 매화 앞에서 한참을 노닥거리다 숲길로 접어든다. 송광사 옆댕이에서 시작되는 ‘무소유길’을 걸어 오른다. 무소유를 설하길 평생 거듭했던 법정 스님이 즐겨 거닌 산길이다. 길 끝엔 불일암(佛日庵)이 있을 게다. 법정 스님이 많은 날들을 보낸 암자다. 경전을 읽거나 화두를 타거나, 채마밭을 일구거나 글을 쓰거나, 스님은 불일암에 수시로 머물며 할 일을 다 했다. 산수 간에 몸을 두는 게 수행승의 일이지만, 긴히 덧정 들고 딱히 속정 깊어서였을까, 그는 불일암을 각별히 좋아했더란다.

 

(주민욱 사진작가(프리랜서) )원본보기
(주민욱 사진작가(프리랜서) )
정겨워라, 초봄 숲. 정겨운 건 정 주고 봐야 한다. 흙을 들어 올리고 빠끔히 낯을 내미는 풀들을 보라. 어린것의 첫 어금니처럼 애틋하고 장하지 않은가. 저마다 미끈한 지체를 뽐내는 저 길찬 나무들은 편백이거나 삼나무다. 길 물매는 순해 걷기에 좋다. 이 나라 어디에나 있는 유정한 숲길이다. 쉬 오를 수 있어 만만한 산길이다. 그러니 길과 사람이 죽이 맞는다.

 

무소유길의 백미는 대숲 사이로 난 오솔길이다. 본새 없이, 하릴없이 목 깁스처럼 빳빳할 뿐 단 한 번을 굽힐 줄 모르는 대나무는 어쩌면 아집의 화신이다. 이렇게 생각한다면 대나무에게 대 회초리 맞아도 싸다. 꺾일 줄 모르니 절개의 상징이요, 속이 텅 비었으니 무욕의 표징이지 않은가. 대나무 죽창은 혁명의 무기였으며, 대나무 피리는 청아한 선율로 사람의 시름을 재운다. 불교하고도 인연이 깊은 게 대나무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설법을 한 대밭에 세운 죽림정사는 최초의 불교 사원이며, 선가의 스승들은 죽비를 높이 들어 공부에 게으른 제자의 등짝을 후려친다.

대숲을 지나 이윽고 불일암에 닿는다. 대나무와 조릿대 무성히 어울렸으니 사립부터 초록이 짙다. 초록으로 지은 대의 터널이다. 걸어드는 초입이 숫제 컴컴하다. 그리곤 이내 햇살 아래로 채마밭과 요사채가 환히 드러난다. 소박한 구색은 여염집에 가까우며, 고요하기론 물속을 닮았으며, 단아한 기품은 연꽃을 연상시킨다. 이 모든 그윽한 풍경에 법정 스님의 눈길이 스쳤을 테지. 모든 사물에 스님의 손길이 어렸을 테지. 임종 즈음, 제자가 물었다. “생사의 경계가 어떠합니까?” 두고두고 모실 한 말씀 달라는 질문이었다.

 

(주민욱 사진작가(프리랜서) )원본보기
(주민욱 사진작가(프리랜서) )
“원래부터 없다.”

 

돌아온 건 그 한마디. 투병엔 격통이 따랐으나 종신(終身)은 그답게 가벼웠다. 장례식 하지 말라, 관 짜지 말라, 사리 찾지 말라, 탑도 비도 세우지 말라. 제자들에게 남긴 당부가 그랬다. 걸리적거릴 게 없는 활보로 이승을 건너셨구나. 불일암 뜰, 후박나무 그늘 아래에 유골을 남기고, 큰스님 후련히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