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마음의 무심’이 되기는 어려워도 걷기 여행은 순간 이동의 마법 부려

[윤한철의 서해랑길 3]

우수영의 아침은 고요하다 못해 적막하기까지 했다. 개 짖는 소리마저 들리지 않았다. 명색이 부두가 있고, 길 이름마저 ‘강강술래길’이라는 안내판에다 정겨운 이름의 카페도 있었는데… 면 소재지 중심부로 들어가는 길은 산업화 전 6~70년대 거리를 재현한 세트장 같다는 생각마저 들었다. 꼭 과거로 돌아가는 것 같은 길모퉁이에서 '법정스님마을도서관'을 만났다. 법정 스님이 이곳 우수영 출신이었다. 

명량대첩비
명량대첩비

작은 돌 언덕 위에 명량대첩비가 세워져 있었다. 그 옆에 강강술래 마당이 널찍하게 조성돼 있고, 이순신 장군의 영정을 모신 충무사가 있었다. 명량대첩비는 일제강점기 때 강제 철거돼 경복궁 내에 버려졌던 것을 지역 유지들이 뜻을 모아 옮겨 세웠다고 했다.

​아침 식사를 걱정하며 걷는데, 문을 연 식당이 있었다. 반가운 마음으로 식당 문을 열고 들어섰더니, 외국인 여성 두 분이 운영하는 식당이었다. 중년의 여성은 주방에서 일을 하고 젊은 여성은 홀에서 서빙을 했다. 얘기를 듣고 싶어 말을 걸어봤는데, 말이 잘 통하지 않았다. 어쩌면 대화를 피했는지도 모르겠다. 된장찌개는 좀 묽었지만 짜지 않아 좋았다.

식당 맞은편 찐빵집 아저씨 얘기를 들어보니, 여사장이 먼저 한국에 왔고 뒤에 아들과 며느리를 불렀다고 했다. 두 외국인 여성은 자매지간이라고 생각했는데, 시어머니와 며느리였다. 식당과 빵집의 주 고객이 농촌 노동자와 노인들이라는 말에도 놀랐다. 변화하는 농촌의 모습이었다. 점심용으로 5천 원을 주고 옥수수빵 4개를 샀다.

마늘 밭 너머 농촌 풍경
마늘 밭 너머 농촌 풍경

비 온 다음 날, 농촌 풍경은 산뜻했다. 짙은 초록의 마늘밭 너머 연초록 보리밭이 정겹고, 그 너머로 서너 채 마을은 그림 같았다. 이런 풍경 속을 걸으면 가슴마저 두근거린다. 나에게 걷는다는 것은 운명인지도 모르겠다. 전깃불도 안 들어오는 시골에서 태어나 도시로, 도시로, 도시로 유학 생활을 했고 결국 수도권에 살게 된 삶 자체가 어쩌면 유랑이었는지도 모르겠다.​

내가 본격적으로 걷게 된 것은 은퇴 후부터다. 준비 없이 닥친 은퇴에 급격히 자존감이 떨어져, 갈피를 잡지 못하고 극심한 우울증까지 앓게 된 나를 붙잡아 준 것이 걷기 여행이었다. 걷게 되면 생각도 따라 걷게 되고, 그러면 몸은 힘들어도 마음은 맑아짐이 느껴지고, 그러면 풍경이 더 아름답게 보이고, 들리고, 느껴졌다. 내 몸속의 많은 내가 사라지고 오롯이 몸만으로 자연을 느끼게 되는 것 같았다. 일상으로 돌아오면 또다시 내 몸속에는 많은 내가 우글거리게 되지만 걷기 여행 경험은 삶을 여유롭게 하는 동력이 되었다. 

법정스님마을도서관석판
법정스님마을도서관석판

법정 스님의 말씀처럼 '빈 마음의 무심'이 되기는 쉽지 않지만, 걷기 여행은 잠시나마 나를 무심의 세계로 순간이동 시켜주는 것 같다. 

풍경에 취해, 생각 없이 걷다가 그만 길을 놓치고 말았다. 그것도 한참을 지나 바닷가 쉼터에서 알게 되었다. 이왕 이렇게 된 것, 신발도 벗고, 양말도 벗고, 쉬었다 가기로 했다. 배낭에서 옥수수빵 2개와 우유를 꺼내 주린 배도 채웠다.


출처 : 문학뉴스(https://www.munhak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5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