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승, ‘김수환 추기경과 법정 스님’, 2005년
‘바보’와 ‘무소유’의 만남. 어떤 칼럼니스트는 김수환 추기경과 법정 스님의 만남을 이렇게 묘사했다. 김수환 추기경은 자화상에 ‘바보’라고 쓴 이유를 묻는 질문에 “있는 그대로의 인간으로서, 제가 잘났으면 뭐 그리 잘났고 크면 얼마나 크며 알면 얼마나 알겠습니까. 안다고 나대고, 어디 가서 대접받길 바라는 게 바보지”라고 답하셨다. 무소유는 소유를 하지 않는다는 게 아니라 불필요한 걸 갖지 않는다는 것으로 스님은 소유하려 들면 생기는 집착과 사물이 갖는 본래 의미를 볼 수 없는 걸 경계하셨다.
추기경님은 2009년 2월 16일, 법정 스님은 2010년 3월 11일 1년 남짓 시차를 두고 각각 세상을 떠나셨다. 추기경님이 선종하셨을 때 추운 날씨임에도 불구하고 명동성당 주위에는 추모객들이 인산인해를 이뤘고 스님이 입적하셨을 때에도 많은 사람들이 대나무 평상에 누워 가사 한 장 덮고 가시는 스님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두 어른이 언제부터 교유를 했는지 알 수 없지만 1997년 12월 14일 법정 스님이 창건한 길상사 개원 법회에 추기경님이 참석해 축하인사를 하고 스님은 이듬해 답례로 명동성당에서 특별 강론을 함으로써 종교 간 화합을 행동으로 보여주셨다. 추기경님이 유학의 본산 성균관이 주는 심산상을 수상한 후 심산 선생 묘소에 가서 거리낌 없이 절한 것이나 법정 스님이 길상사에 성모 마리아를 닮은 관세음보살상을 모신 것은 ‘자신의 종교와 신념을 유지하면서도 남의 믿음을 포용’하는 데 있어 자연스러운 일이었다.두 어른의 유품은 안경, 필기구, 책 몇 권, 수단(신부님들이 미사 때 입는 검은 옷), 승복(스님들의 옷)에 불과하지만 가르침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크다. 지난 1년간 온 나라가 어려움에 빠져 힘들었을 때 두 어른이 계셨더라면 계신 것만으로도 많은 국민들은 위로받았을 것이다. 성탄과 정유년의 끝자락에서 찍은 지 10년도 더 된 사진을 꺼낸 이유도 어른의 부재에서 오는 공허감을 사진을 보며 이분들이 주셨던 가르침을 되새김질하고픈 마음 때문이다. 사진은 2005년 5월 15일 길상사에서 열린 길상음악회에 참석하고 돌아가시는 김수환 추기경님을 법정 스님과 길상사 주지인 덕조 스님이 배웅하는 모습이다.
이종승 전문기자 urises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