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혼탁한 시대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나요?” 스님 진영과 사물 통해 불교의 과제 고민 &‘김호석-묻다&’전이 6월 8일까지 종로구 사간동 갤러리GMA에서 열린다. 김호석 작가〈사진〉는 조선시대 전통 초상화 기법을 오랜 기간 연구해 현대적으로 계승, 국내 인물 초상화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에 있다. 뿐만 아니라 일찍부터 현장과 현실에 바탕을 둔 수묵운동에 참여 역사화, 농촌풍경화, 가족화, 군중화, 동물화에 이르기까지 자신만의 회화세계를 확장시켜 왔다.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법정 스님의 진영과 의자, 옷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물을 통해서 이 시대 불교의 역할을 묻는다. “길상사의 요청으로 스님의 표준 진영을 그리게 됐어요. 작업을 하다보니 스님에게 묻고 싶은 말들이 생겼어요. 이 시대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냐고 말이죠. 스님께서는 지금 여기에 안 계시지만 이 시대의 선각자이시고 아직까지도 불교계에서 영향력 있는 분이시니 이 질문에 대답을 해 주실 것만 같았어요.” 스님이 벗은 놓은 옷을 그려낸 &‘덧&’은 껍데기만 남은 이 시대 불교 정신에 대해 묻고 싶은 마음을 담아낸다. “무심하고 소박한듯 보이지만 이 낡은 옷을 통해 스님에게 불교의 정신과 미학에 대해 논쟁을 하고자 했어요. 참선을 마치고 가볍게 일어선 뒤 자리에 남겨진 또 다른 스님을 만나고 있는지도 모르죠.”
&‘이제는 의자가 쉬자&’는 법정 스님이 서툴게 만들어 늘 쉬고 있던 낡은 의자를 그렸다. 이제는 불일암을 찾는 많은 사람들이 &‘법정 스님의 의자&’에 앉아 스님을 만나고자 한다. 하지만 작가는 작품 속에서 이 의자를 뉘어 놓았다. 스님이 떠난 뒤 의자를 쉬게 하고 싶은 마음에서다. 작가는 쉬고 있는 무소유의 법정 스님을 만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또한 다양한 사물을 빌어 세상을 말하고 이를 통해 또다른 깨우침을 준다. 큰 화면에 머리만 남은 대구가 서로를 물고 뜯고 있는 &‘불이&’는 몸은 하나로 2가지의 표정이 흥미롭다. 인간의 이중적 가식과 표정, 사악함과 온화함의 양면성은 서로를 물어뜯는다는 경고임에 분명하다. &‘거울 앞에서&’는 자신을 보면서 허물을 보고 반성하면서 맑은 얼굴로 아름답게 살아가자는 스님의 가르침을 말한다. “법정 스님은 불일암에서 홀로 수행하신 독거 수좌시잖아요. 눈빛이 강하고 섞여서 살기 싫어하셨고 또 혼탁한 걸 싫어하셨어요. 이런 스님은 우리에게 무소유의 삶을 가르쳐 주고 떠나셨죠. 이제 우리는 스님의 정신을 계승한 새로운 법정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작가는 법정 스님을 통해 이 시대 불교가 가야 할 길을 묻는다. 그리고 작가는 시선을 돌려 우리에게 질문한다. 당신의 내면에 불교 정신이 살아 있느냐고? 혼탁한 세상에 불교는 어떤 길을 가야 하냐고? (02)725-00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