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만에 홀로 있는 내 자리를 되찾았다. 이 고요와 한적을 무엇에 비기리 절대로 간소하게 살 것. 날마다 버릴 것“
법정 스님의 12주기(2010년 열반)로 길상사에 왔다. 아래는 예전에 쓴 글이다.
“법정스님 가시는 길에”
부처의 길을 따르는 사람은 두 가지를 버리고 두 가지를 소유해야 한다고 한다. 버려야할 두 가지는 탐욕과 무지이며 소유해야 할 두 가지는 무아와 무소유이다. 나 없음을 체험한 수행자는 청정과 청빈의 맑은 삶을 꽃피우고 내 것, 없음을 깨달은 불제자는 나눔과 관용의 향기로운 삶의 열매를 나누게 된다. 법정스님의 생전 소원은 보다 간단하고 단순하게 사는 것이었다. 사는 곳이 번거로워 지면 버리고 떠나기를 통해서 당신의 초심을 잃지 않았고 아름다운 마무리를 통해 사후 장례절차까지 철저하게 당부했다.
남에게 폐 끼치는 것을 싫어했던 스님은 묘하게 폐암이라는 진단을 받고 여러 사람들에게 폐를 끼치게 된 것을 무척 거북해 했다. 병상의 스님께서는 병 수발 드는 시자에게 말했다.
“지금 내 소원이 뭔지 알아?” “뭔데요?” “사람들에게 폐 끼치지 않고 하루 빨리 다비장 장작으로 올라가는 길이야.”
보다 단순하고 보다 간소한 삶을 추구했던 스님은 허례허식의 장례 절차가 이뤄진다면 죽은 시신이라도 벌떡 일어나 그만 두라고 소리칠 테니 내 뜻에 따르라고 거듭 당부했다. 입적 하루 전날 제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당부의 말을 남겼다.
“모든 분들에게 깊이 감사드린다. 내가 금생에 저지른 허물은 생사를 넘어 참회할 것이다.ᆢ내 것이라고 하는 것이 남아 있다면 모두 맑고 향기로운 사회를 구현하는데 사용해 달라. 이제 시간과 공간을 버려야겠다. 일체의 번거로운 장례의식은 행하지 말고 관과 수의를 마련하지 말라. 화환과 부의금을 받지 말라. 삼일장 하지 말고 지체 없이 화장하라. 평소의 승복을 입은 상태로 다비하고 사리를 찾지 말고 탑이나 비를 세우지 말라.”
저는 법정 스님이 불일암을 짓기 시작할 때 출가하여 불일암 낙성식(1975년9월2일)때 수계하였으니 불일암과 인연이 깊다. 법정 스님은 불일암 부엌에 “먹이는 간단명료하게”라는 글씨를 붙여 놓고 세 가지 이상 반찬을 못 놓게 했다. 사람들은 갖기 위해 애쓰다가 갚기 위해 고통 받는다. 욕심을 줄이고 단순하고 간소하게 평생을 살아온 스님 무소유란 아무것도 소유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에서 얼마나 자유로워져 있는가를 살펴보라고 하셨던 법정 스님. 스님이 저에게 써주신 한 구절 게송을 소개한다.
“옳거니 그르거니 내. 몰라라 산이건 물이건 그대로 두라. 하필이면 서쪽에만 극락세계랴. 흰구름 걷히면 청산인 것을.ᆢ”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Last Will of the Monk Beopong "Please prepare yourself in the state of your usual monk's robe!" “The transgressions I have committed in this life will go beyond life and death and I will repent.” - Monk Seok-jang
“After a long time, I have regained my place of being alone. What do you think of this stillness and quietness? Never live simply. I will throw it away every day.” I came to Gilsangsa on the 12th anniversary of the monk Beop. Below is an article I wrote a while ago.
“On the way to the old monk Beopong.”
It is said that those who follow the path of the Buddha must give up two things and possess two things. The two things to give up are greed and ignorance, and the two things to possess are selflessness and non-possession. A meditator who has experienced the absence of me blossoms into a pure life of purity and poverty, and a Buddhist disciple who realizes that it is mine and that there is nothing shares the fruit of a fragrant life of sharing and tolerance. The wish of Master Beop during his lifetime was to live a simpler and simpler life. When the place to live becomes cumbersome, you don't lose your original intention by throwing it away and leaving. The monk, who did not like to cause trouble to others, was strangely diagnosed with lung cancer and was very embarrassed to cause trouble to many people. The monk at the bedside said to the servant who was carrying a bottle. “Do you know what my wish is now?” “What?” “It’s a way to go up to Dabijang firewood as soon as possible without causing trouble to people.” The monk, who pursued a simpler and simpler life, repeatedly urged me to follow my will, because if the funeral process was carried out in a pretentious manner, even a dead body would stand up and shout at him to stop. The day before his death, he left the following message to his disciples: “Thank you very much to everyone. The transgressions I have committed in this life will go beyond life and death and I will repent. Now I have to throw away time and space. Do not perform any cumbersome funeral ceremonies and do not prepare coffins and shrouds. Do not accept wreaths and alms. Don't do samiljang and apply makeup without delay. Do not look for relics, and do not build towers or monuments.” I have a deep connection with Bulilam, because I went to church when Beopbeop started building Bulilam and took over at the inauguration ceremony of Bulilam (September 2, 1975). Monk Beop put a sign on the kitchen of Bulilam that read “Eating simply and clearly” and made it impossible to place more than three side dishes. People struggle to have and suffer to repay. A monk who reduced his greed and lived his life simply and simply. The monk Beop said to look at how free he is from unnecessary things, rather than not owning anything. He introduces a verse verse that the monk wrote to me. “Right or wrong my. don't know Let it be acid or water. After all, the world of paradise is only in the west. When the white clouds are lifted, it is clearing.ᆢ” |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